본문 바로가기
가볼만한 곳

경기도 기념물 황희 정승 묘

by Genie_K 2022. 5. 20.
728x90

황희 정승 묘한번 쯤 가볼만한 곳

방문일시 : 2022.05.14.(토)
촬영장비 : A7C (Sony)

 

내돈내산으로 협찬과 광고는 아닙니다. 단순 소개입니다.


· 소개

황희 정승 묘입니다.
주차는 무료이고, 주차장도 넓습니다. 다만, 주차장으로 들어오는 길이 1차선이라 양방향에서 차가 들어오면 난감할 수 있습니다.

관람 및 참배는
영정각 -> 봉문 -> 부조묘 -> 원모재 재실 -> 신도비각 순으로 하시면 됩니다.

개요
1976년 8월 27일 경기도 기념물 제34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초기의 명재상이자 청백리의 표상이었던 방촌(厖 村) 황희(黃喜)의 묘이다.

 

묘역은 3단으로 넓게 조성되었고 묘 둘레는 34m, 높이가 4m로, 봉분의 규모가 크다. 다른 묘의 형태와는 달리 화강암 장대석(長臺石)을 이용하여 전면을 ㄷ자 모양으로 전방을 향해 3단의 호석(護石)을 쌓아 봉분과 연결시킨 특이한 봉분구조이다.

봉분 앞에는 혼유석(魂遊石)·상석(床石)·향로석이 밀착되어 있으며 그 정면에는 사방으로 화창(火窓)이 투각된 장명등(長明燈)이 있다. 봉분 좌측에 묘갈(墓碣)이 있고 그 아래로 동자상과 문인석이 각각 하나씩 서 있다.

묘역 아래에 있는 원모재(遠慕齋) 앞 언덕에는 1505년(연산군 11)에 세워진 신도비가 있는데 신숙주(申叔舟)가 글을 짓고 안침(安琛)이 글씨를 썼다. 그러나 비문은 마모가 심하여 판독이 불가능하다. 그 옆에는 1945년에 다시 세운 신도비가 있는데 비각에 보호되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희 선생 묘 [黃喜 先生 墓]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주차장입니다. 매우 넓지만. 비포장입니다.

주차장에서 계단 위를 바라본 모습입니다.

아래 사진에 멀리 보이는 곳은  황희 정승의 셋째 아들 황수신 부부의 묘입니다.

황수신
조선 초기의 문신이다. 영의정 황희의 3째 아들로, 우의정·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올라 2대에 걸쳐 영의정이 되었으며, 세조의 명을 받아《법화경》《묘법연화경》의 언해를 주관하였고,《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을 찬진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수신 [黃守身]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재실 원모제

재실 원모제 입니다. 제사 준비를 위한 공간입니다.
방명록도 있던 것 같던데. 관리가 안 되어 있네요..

· 신도비

황희 선생 묘 신도비입니다.

· 영정각

신도비를 본 후 내려오면 황희 정승 묘 입구로 들어 갈 수 있습니다.

황희 정승 영정이 모셔져 있는 영정각입니다.(닫혀 있어서 들어가 볼 수 없었습니다.)

위에서 바라본 영정각입니다.

 

· 황희 정승 묘

숲길을 따라 이동하면 황희 정승 묘로 올라갈 수 있습니다.

날씨가 너무 좋았습니다.

· 부조묘

황희 정승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건물인 부조묘 입니다.

현판에는 '방촌황선생부조묘'라 씌어 있습니다.

 

 

주차장에서 올라오면 바로 옆에 화장실이 있습니다.
깨끗하게 관리가 잘 되어있습니다.

 


다른 사진들을 보고 싶으시면 아래 블로그로 방문해 주세요^^

https://blog.naver.com/inter95_kr

 

여행 그리고 사진 : 네이버 블로그

여행. 사진을 좋아하는 블로거입니다. 서이추는 환영입니다 기본멘트보다는 간단한 말씀이라도 써주세요~^^

blog.naver.com

728x90

댓글